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55,#aaa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height=50><width=20%> [[라리가|[[파일:라리가 로고.svg|height=15]]]][br]
[[라리가|{{{#171714 '''라리가'''}}}]]
||<width=20%> [[세리에 A|[[파일:세리에 A 로고.svg|height=20]]]][br]
[[세리에 A|{{{#032e78,#86b2fc '''세리에 A'''}}}]]
||<width=20%> [[프리메이라 리가|[[파일:프리메이라 리가 벳클릭 로고.webp|height=20]]]][br]
[[프리메이라 리가|{{{#fff '''프리메이라 리가'''}}}]]
||<width=20%> [[튀르키예 쉬페르리그|[[파일:쉬페르리그 로고.svg|height=20]]]][br]
[[쉬페르리그|{{{#fff '''쉬페르리그'''}}}]]
||<width=20%>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파일:Cypriot First Division - CYTA Logo.png|height=20]]]][br]
[[프로타트리마 A 카티고리아스|{{{#fff '''A 카티고리아스'''}}}]]
|| ||<rowbgcolor=#f0f0f0,#191919>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30]]]] ||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30]]]] || [[포르투갈|[[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30]]]] || [[터키|[[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30]]]] || [[키프로스|[[파일:키프로스 국기.svg|width=30]]]] || ||<height=50> [[세르비아 수페르리가|[[파일:Serbian SuperLiga.png|height=20]]]][br]
[[세르비아 수페르리가|{{{#fff '''수페르리가'''}}}]]
|| [[프르바 HNL|[[파일:image_processing20220826-1-zx74di.png|height=20]]]][br]
[[프르바 HNL|{{{#fff '''프르바 HNL'''}}}]]
|| [[수페르리가 엘라다|[[파일:883px-수페르리가_엘라다_로고.svg.png|height=20]]]][br]
[[수페르리가 엘라다|{{{#fff '''수페르리가'''}}}]]
|| [[리갓 하알|[[파일:이스라엘1부리그.png|height=20]]]][br]
[[리갓 하알|{{{#FEE602 '''리갓 하알'''}}}]]
|| [[파르바 리가|[[파일:Bulgaria Parva Liga Logo.png|height=20]]]][br]
[[파르바 리가|{{{#8d6a1c '''파르바 리가'''}}}]]
|| ||<rowbgcolor=#f0f0f0,#191919> [[세르비아|[[파일:세르비아 국기.svg|width=30]]]] || [[크로아티아|[[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width=30]]]] ||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30]]]] || [[이스라엘|[[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30]]]] || [[불가리아|[[파일:불가리아 국기.svg|width=30]]]] || ||<height=50> [[리가 I|[[파일:Liga I casa.png|height=20]]]][br]
[[리가 I|{{{#fff '''리가 I'''}}}]]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파일:보스니아 축구리그.jpg|height=20]]]][br]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프리미어 리그|{{{#fff '''프리미어 리그'''}}}]]
|| [[프르바 리가|[[파일:북마케도니아 축구리그.png|height=20]]]][br]
[[프르바 리가|{{{#fff '''프르바 리가'''}}}]]
||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파일:알바니아 축구리그.png|height=20]]]][br]
[[카테고리아 수페리오레|{{{#fff '''수페리오레'''}}}]]
|| [[몰타 프리미어 리그|[[파일:MaltesePremierLeague.jpg|height=20]]]][br]
[[몰타 프리미어 리그|{{{#73123d '''프리미어 리그'''}}}]]
|| ||<rowbgcolor=#f0f0f0,#191919> [[루마니아|[[파일:루마니아 국기.svg|width=30]]]]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30]]]] || [[북마케도니아|[[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width=30]]]] ||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30]]]] || [[몰타|[[파일:몰타 국기.svg|width=30]]]] || ||<height=50> [[코소보 슈퍼리그|[[파일:코소보 슈퍼리그.png|height=20]]]][br]
[[코소보 수페르리가|{{{#fff '''수페르리가'''}}}]]
|| [[지브롤터 풋볼 리그|[[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 검은워드마크.png|height=20&theme=light]][[파일:지브롤터 풋볼 리그.png|height=20&theme=dark]]]][br]
[[지브롤터 풋볼 리그|{{{#fff,#fff '''풋볼 리그'''}}}]]
|| [[프르바 CFL|[[파일:Telekom_Prva_CFL.png|height=20]]]][br]
[[프르바 CFL|{{{#fff '''프르바 CFL'''}}}]]
|| [[프리메라 디비지오|[[파일:안도라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height=20]]]][br]
[[프리메라 디비지오|{{{#1b3e9b,#6486e4 '''프리메라 디비지오'''}}}]]
||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파일: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엠블럼.png|height=20]]]][br]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fff '''캄피오나토'''}}}]]
|| ||<rowbgcolor=#f0f0f0,#191919> [[코소보|[[파일:코소보 국기.svg|width=30]]]] || [[지브롤터|[[파일:지브롤터 기.svg|width=30]]]] || [[몬테네그로|[[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width=30]]]] || [[안도라|[[파일:안도라 국기.svg|width=30]]]] || [[산마리노|[[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30]]]] || ||<-5> {{{-2 [[틀:세계 축구 주요 리그|전 세계 리그]]}}} ||





Campionato Sammarinese di Calcio
파일: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로고.png
정식 명칭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창설 연도1985년 10월 2일
참가 팀 수15팀
최근 우승팀SP 트레 페네 (2022-23)
최다 우승팀SP 트레 피오리 (8회)
웹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UEFA 리그 랭킹55위 #
1. 개요
2. 리그 방식
2.1. 1985-86 시즌
2.2. 1986-87 시즌
2.3. 1987-88 시즌~1989-90 시즌
2.3.1. 플레이오프 방식
2.4. 1990-91 시즌~1995-96 시즌
2.4.1. 플레이오프 방식
2.5. 1996-97 시즌~2017-18 시즌
2.5.1. 1페이즈
2.5.2. 플레이오프 방식(~2007-08 시즌)
2.5.3. 플레이오프 방식(2008-09 시즌~)
2.6. 2018-19 시즌 이후
2.6.1. 1페이즈
2.6.2. 2페이즈
2.6.3. 최종 페이즈
2.6.4. 2021시즌부터
3. 소속 클럽
4. 역대 우승팀



1. 개요[편집]


1985년부터 시작된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이탈리아어: Campionato Sammarinese di Calcio, 산마리노 축구 선수권 대회)는 산마리노의 축구 리그이다. UEFA 리그 랭킹은 55위로 최하위에 속한다. 우승 팀은 UEFA 챔피언스리그 예비 예선에 나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며, 컵 대회인 코파 티타노 우승 팀과 리그 준우승 팀은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예선에 나가게 된다.


2. 리그 방식[편집]



2.1. 1985-86 시즌[편집]


첫 시즌으로서 17개 팀이 다른 팀과 두 경기씩 치러서 1위 팀이 우승 팀이 되었고, 상위 9개 팀은 다음 시즌에 1부 리그, 8개 팀은 2부 리그로 가게 되었다.


2.2. 1986-87 시즌[편집]


1부 리그 9개 팀이 2라운드 풀리그를 치러 상위 4개 팀이 참가한 4강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 팀을 결정했고 하위 2개 팀이 강등되었다.


2.3. 1987-88 시즌~1989-90 시즌[편집]


1부 리그 10개 팀이 2라운드 풀리그를 치러 상위 4개 팀과 2부 리그 1, 2위 팀이 참가한 더블 엘리미네이션 플레이오프를 통해 우승 팀을 결정했고 하위 2개 팀이 강등되었다.


2.3.1. 플레이오프 방식[편집]


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5라운드
1경기1부 3위~2부 2위승자조4경기1경기 승자6경기1부 2위8경기1부 1위결승8경기 승자
2경기 승자4경기 승자6경기 승자준결승 승자
2경기패자조3경기1경기 패자5경기4경기 패자7경기6경기 패자준결승8경기 패자
2경기 패자3경기 승자5경기 승자7경기 승자


2.4. 1990-91 시즌~1995-96 시즌[편집]


1부 리그 10개 팀이 2라운드 풀리그를 치러 상위 4개 팀과 2부 리그 1위 팀이 참가한 더블 엘리미네이션 플레이오프를 우승 팀을 결정했고 하위 2개 팀이 강등되었다.


2.4.1. 플레이오프 방식[편집]


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
1경기1부 2위~2부 1위승자조4경기1경기 승자6경기1부 1위결승6경기 승자
2경기 승자4경기 승자준결승 승자
2경기패자조3경기1경기 패자5경기4경기 패자준결승6경기 패자
2경기 패자3경기 승자5경기 승자


2.5. 1996-97 시즌~2017-18 시즌[편집]


현재에는 승강제를 폐지하고 1부와 2부를 통합, 모든 클럽 팀을 같은 등급으로 놓고 시즌을 진행한다.


2.5.1. 1페이즈[편집]


모든 팀을 두 개의 조로 나누어 양대리그 형식으로 진행한다. 같은 조에 속한 팀과는 두 번, 다른 조에 속한 팀과는 한 번 경기를 치른다. 각 조의 상위 세 팀은 챔피언을 결정하는 플레이오프로 올라가게 된다.


2.5.2. 플레이오프 방식(~2007-08 시즌)[편집]


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
승자조1경기A조 2위3경기B조 1위7경기3경기 승자결승7경기 승자
B조 3위1경기 승자
2경기B조 2위4경기A조 1위4경기 승자준결승 승자
A조 3위2경기 승자
패자조5경기1경기 패자8경기5경기 패자준결승7경기 패자
4경기 패자
6경기2경기 패자6경기 패자8경기 승자
3경기 패자


2.5.3. 플레이오프 방식(2008-09 시즌~)[편집]


1라운드2라운드3라운드4라운드5라운드
승자조1경기B조 2위3경기1경기 승자8경기6경기 승자결승8경기 승자
A조 3위2경기 승자3경기 승자준결승 승자
2경기A조 2위6경기A조 1위
B조 3위B조 1위
패자조4경기1경기 패자5경기3경기 패자7경기6경기 패자준결승8경기 패자
2경기 패자4경기 승자5경기 승자7경기 승자


2.6. 2018-19 시즌 이후[편집]



2.6.1. 1페이즈[편집]


두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하는 것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같은 그룹 소속 팀들과만 한 경기씩 치른다.


2.6.2. 2페이즈[편집]


각 그룹 상위 4개팀을 모은 그룹 1과 각 그룹 하위 3, 4개팀을 모은 그룹 2로 나뉘어서 같은 그룹 소속팀들과 두 경기씩 치른다.


2.6.3. 최종 페이즈[편집]


1그룹 상위 6팀과 2그룹 상위 1팀과 2그룹 2, 3위 중 플레이오프 승자가 참가한다. 싱글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우승자를 결정하며, 패자끼리의 추가적인 경기를 통해 8위까지 모든 순위를 결정한다.


2.6.4. 2021시즌부터[편집]


15개팀이 서로 2번씩 경기를 치루고 상위 12개팀이 플레이오프 토너먼트에 진출하여 유럽 대항전 진출권를 가지고 경쟁한다.



3. 소속 클럽[편집]





4. 역대 우승팀[편집]


2019-20 시즌이 2페이즈 8라운드까지 진행된 상황에서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리그가 중단되었다. 이때까지 치른 경기 결과를 토대로 당시 1위인 트레 피오리가 리그 우승팀 자격으로서 챔피언스리그 예선에 참가하고 당시 2, 3위인 폴고레트레 펜네가 리그 2, 3위 자격으로서 유로파 리그에 참가한다. 코파 티타노 역시 4강에서 중단되었는데 우승팀을 따로 정하지 않고 그대로 대회를 종료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58:58에 나무위키 캄피오나토 삼마리네세 디 칼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